DMZ 꿀벌 이야기
코로나 팬데믹이 한창이던 2021년 8월, 무더위를 뚫고 파주농업기술센터에서 실시하는 농업인대학의 ‘허준 약초반’과정을 수료하고 DMZ에서 꿀벌을 치는 유정미, 조국현 대표의 양봉 농장을 처음 찾았다. 이들은 친구이자, 동료 사이로 처음에 탄현면 오금리에서 양봉을 시작하다 2020년에 민통선 안으로 옮겨와 새터를 잡고 벌들과 씨름하고 있었다. 그런데 다음해 가을부터 매스컴은 이유도 없이 벌들이 사라진다는 뉴스를 흘리기 시작했다. 이와 함께 벌들이 사라지면서 생기는 여러 문제와 발생원인 및 대책들도 우후죽순으로 쏟아져 나왔다.
'꿀벌 실종'은 3년째 현재진행형!
벌집을 나온 후 귀갓길에서 죽거나 집을 찾지 못하는 이른바 '꿀벌 실종' 현상은 2022년 갑작스레 찾아왔다. 꿀 수확량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꿀벌이 수정하지 못함으로 사과·복숭아 등의 생산량이 줄어 과일값이 치솟기도 했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지난해 2월 공개한 통계자료에 따르면 2022년 9~11월 국내에서 실종·폐사한 꿀벌은 약 40만~50만 봉군(蜂群, 78억~80억 마리 상당) 수준이다. 한국양봉협회도 올해 1월 1일부터 3월13일까지 농가 5,537개소를 조사한 결과, 월동 전 봉군은 65만 정도였으나 월동 후는 31만 수준으로 약 34만 봉군(53%)이 실종·폐사됐다고 밝혔다. (뉴시스 발췌)
올해는 예년과 달리 늦겨울과 초봄에 눈과 비가 자주 내리고 기온변화도 심했다.
매년 3월 중순에 남쪽지방부터 순차적으로 피는 꽃이 이상기후로 인해 4월이 되어서야 지역 구분도 없이 꽃이 피기 시작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록의 계절인 5월에 들어서자, 여기저기에 푸르름이 넘쳐났다.
3년 만에 유정미, 조국현 대표의 양봉 농장을 다시 찾은 5월 20일은 공교롭게도 UN(국제연합)이 지정한 ‘세계 벌의 날’이었다. 통일대교 초입의 검문소에서 만난 유 대표는 우리 일행을 반기며 민통선의 출입 절차를 도와주었다. 선도 차량을 뒤따르며 민통선 안에 있는 마을인 ‘통일촌’을 지나쳐 달리다 보니 좁은 농로로 들어섰다. 그렇게 굽은 도로를 따라 가다보니 저 멀리 차창 밖으로 길게 늘어선 벌통이 보였다.